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

센터소개

센터소개 보육정책 정책뉴스

정책뉴스

정책뉴스 상세보기의 제목, 작성자, 조회, 등록일, 수정일, 공유하기,첨부파일, 내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.
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82조8203억 원 편성
작성자 중앙센터 조회 942
등록일 2019-08-29 수정일 2019-08-29
공유하기
(새창)네이버공유하기
(새창)페이스북공유하기 (새창)트위터공유하기
첨부파일

(별첨_1)_2020년도_보건복지부_예산안_주요_사업.pdf 다운로드

(별첨_2)_2020년도_국민체감_예산안_20선.pdf 다운로드

(별첨_3)_2020년_보건복지부_예산_및_기금운용계획(안)인포그래픽.jpg 다운로드

[8.29.목.9시_이후]_2020년도_보건복지부_예산안_82조8203억_원_편성.hwp 다운로드

[8.29.목.9시_이후]_2020년도_보건복지부_예산안_82조8203억_원_편성.pdf 다운로드

 

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82조8203억 원 편성

- 전년 대비 14.2%(10조3055억 원) 증가, 정부 총지출 중 16.1% 차지 -
- 사회안전망 강화, 건강투자 및 바이오헬스산업 육성, 저출산?고령화 대응 중심 편성 -

□ 보건복지부(장관 박능후)는 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82조8203억 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.

 ○ 이는 2019년 예산액 72조5148억 원 대비 10조3055억 원 증가(14.2%)한 것이며, 2017년 이후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.

    * 보건복지부 예산 규모 : (’17년) 57.7조 원 → (’18년) 63.2조 원(+5.5조 원) → (’19년) 72.5조 원(+9.3조 원) →  (’20년 안) 82.8조 원(+10.3조 원)

 ○ 모든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포용국가 정책기조에 따라 정부 총지출 중 보건복지부 예산 비중 역시 2017년 14.4%에서 2020년 16.1%로 꾸준히 증가하였다.

    * 정부 총지출 중 보건복지부 예산 비중
     · (’17년) 14.4% (57.7조 원/400.5조 원) → (’18년) 14.7% (63.2조 원/428.8조 원) → (’19년) 15.4% (72.5조 원/469.6조 원) →  (’20년 안) 16.1% (82.8조 원/513.5조 원)

□ 2020년 예산안은 포용국가 기반 공고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, 혁신성장 가속화를 기본방향으로 한다.

   -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①사회안전망 강화, ②건강 투자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, ③저출산·고령화 대응을 중심으로 예산안을 편성하였다.

 

 

< 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 편성 방향 >

 

 

 

 

포용국가 구현을 위한 저소득·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

국민건강증진투자 및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성장 가속화

저출산·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

 

 


1 포용국가 구현을 위한 저소득·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


□ 포용국가 사회안전망 강화

    * 지난 5월 16일(목) 1분위 소득 개선을 위해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논의한 ?포용성 강화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대책?을 바탕으로 예산 편성

 ○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줄어든다.

   - 부양의무자 기준을 개선하여 중증장애인 수급자 가구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으며, 수급자 재산 기준도 완화*하여 생계급여 대상자 범위를 넓힌다.

     * 생계급여 : ('19) 3조7617억 원(추경예산+109억원포함) → ('20년안) 4조3379억 원(5,762억 원, 15.3%)

    * 소득인정액 산정 시 적용되는 기본재산공제액 및 주거용재산 한도액 인상

 ○ 일할 수 있는 저소득층이 극빈층으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고,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.

   - 노인 일자리 13만 개(61→74만 개), 장애인 일자리 2,500개(2만→2만2500개)를 늘리고, 자활일자리 5만8000개를 운영한다.

   - 내년부터는 25세~64세까지의 생계급여 수급자에게 30%의 근로소득 공제가 적용되며, 이를 통해 수급자는 공제 금액만큼 소득산정에서 차감 받게 된다.

   - 일하는 차상위계층 청년(만 15세~39세)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저축계좌를 새로 도입한다.

     * 본인 저축액 10만 원당 30만 원을 맞춰 지원하여 3년간 1,440만 원 형성 가능
□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지원

 ○ 2019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라 장애인 맞춤형으로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,

   - 2020년에는 장애인활동지원 대상(+9,000명, 8만 1000→9만 명), 시간(월 평균 109→127시간)을 확대한다.

 ○ 성인 주간활동(+1,500명, 2,500→4,000명), 청소년 방과후 돌봄(+3,000명, 4,000→7,000명) 확대를 통해 발달장애인 자립생활을 지원한다.

 ○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퇴소한 보호종료아동의 안정적 사회 복귀를 지원하는 자립수당(월 30만 원) 지급 대상(+2,900명, 4,920→7,820명)을 늘린다.

 ○ 또한, 기존에 민간 기관에 분산되어 수행된 아동학대, 입양, 실종 업무를 아동권리보장원에 한데 모아 ‘아동 중심’ 통합서비스 제공을 지원한다.

□ 국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

 ○ 도움이 필요한 국민을 찾고, 돌보고, 지원하는 사회복지 체계가 강화된다.

   -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,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한다(’21.9월부터 단계적 개통).

     *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: ('19) 409 → ('20년 안) 1,189억 원(780억 원, 190.7%)

   - 읍면동 단위 상담·사례관리를 강화하여 복지서비스가 지역주민에게 빈틈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전달체계 시범사업(4개 광역자치단체, 60억 원)을 실시한다.

 ○ 이와 함께, 지역사회 사회복지 기반을 강화한다.

   - 평소 살던 집에서 건강관리, 요양, 돌봄서비스를 받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을 1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본격 시행한다.

   - 다양한 국?공립 시설을 운영하며 종사자를 직접 채용하는 사회서비스원은 올해보다 7개가 늘어난 11개소가 운영된다.


2 국민 건강을 빈틈없이 살피는 건강투자 확대 및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성장 가속화


□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

 ○ 건강보험 정부지원을 역대 최대 규모인 1조895억 원 증액한다.

   - 이를 통해, 국민 의료부담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재정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한다.

   * 건강보험 정부지원 : ('19) 78,732 → ('20년 안) 89,627억원 (10,895억원, 13.8%)

□ 건강위험요인 예방·관리

 ○ 만성질환 예방?관리체계 강화

   - 만성질환(고혈압?당뇨 등) 위험군이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보건소 이동통신건강관리(모바일헬스케어) 참여 개소수를 확대(+30개소, 100→130개소)한다.

   - 지역 밀착형 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생활지원센터를 확충(+20개소, 75→95개소)한다.

 ○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자살예방, 정신건강 분야 투자 확대

   - 증가하는 정신건강 분야 정책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2020년도 관련 예산을 올해 대비 39% 증액(738→1,026억 원) 편성하였다.
    * 자살예방 및 지역정신보건사업 : ('19) 729 → ('20년 안) 974억 원(+245억 원, 33.7%)
      마약치료 및 정신건강증진사업관리 : ('19) 9 → ('20년 안) 52억 원(+43억 원, 462.5%)
   - 정신건강복지센터 전문 인력을 확충(+580명, 790→1,370명)하고,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을 확대(1개→6개 광역지방자치단체)하여 자살예방과 정신질환 조기발견·재활·치료 역량을 강화한다.

   - 자살시도 등 응급상황에 대한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응급개입팀*(34개)을 새로 만든다.

    * 정신과적 응급·위기상황에서 정신건강복지센터·경찰·소방청 등이 협조하여 현장출동 및 응급개입을 통해 안정과 상담을 유도, 입원연계 등 필요 조치

 ○ 최근 급증한 A형 간염 발생을 고려하여 고위험군(20~40대 만성간질환자 등) 대상 무료예방 접종(2회)을 새로 지원한다.

□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의료자원 확충

 ○ 지역 내 필수 의료서비스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지역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응급의료·심뇌혈관 장비 보강 등을 지원하고 책임의료기관*으로 육성한다.

    * 지역 내에서 중증?응급 등 필수 의료 제공?연계, 퇴원환자?건강취약계층 중점관리 등 지역 의료자원을 연계?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의료기관

 ○ 중증 질환이 있는 어린이를 위한 입원병동(1개소) 설치 예산을 새로 편성하여, 가족의 24시간 간호 부담이 완화되도록 하였다.

□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헬스(의료데이터, 의료기기, 제약) 분야의 혁신성장을 위한 투자 대폭 강화

     * 보건의료 주요 연구개발(R&D) 예산 : ('19년) 4,669 → ('20년 안) 5,278억 원(+609억 원, 13.0%)

 ○ 바이오헬스 기술혁신을 위한 유전체·의료임상정보 빅데이터 플랫폼*을 구축하여, 질병극복·산업발전 기반을 마련한다.

    *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(복지·과기·산업부 연계) : 150억 원(신규)

   - 이와 함께, 의료데이터 중심병원(5개소, 93억 원)을 새롭게 지원·운영한다.
 ○ 의료기기 연구개발(R&D)부터 제품화까지 전주기(R&D-임상-인허가-제품화) 지원하고, 산업 경쟁력 강화*를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.

    *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(R&D) : 302억 원(신규)
    * 의료기기산업 경쟁력 강화 : ('19) 47 → ('20년 안) 86억 원(+39억 원, 82.4%)

 ○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*을 구축하고, 제약·바이오 핵심 전문인력**을 양성한다.

    *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: ('19) 25 → ('20년 안) 28억 원(+3억 원, 11.1%)
    ** 제약산업 육성지원 : ('19) 126 → ('20년 안) 153억 원(+27억 원, 22%)


3 저출산·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


□ 보육 서비스 개선과 돌봄 부담 완화

 ○ 보육지원체계 개편(2020년 3월)을 통해 돌봄 공백 없이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고 보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한다.

   - 이를 위해 연장보육료를 신설(0~2세 : 420억 원, 3~5세 219억 원)하고 보조?연장보육교사를 배치(연장교사 +1만 2000명, 4만 명→5만 2000명 / 대체교사 +700명)한다.

 ○ 맞벌이 가구 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함께돌봄 센터를 550개소 추가 설치(누적 167→717개소)하며, 국공립어린이집을 550개소 이상 확충하여 돌봄체계를 더욱 촘촘히 구축한다.

□ 노인 돌봄체계 개편 및 소득기반 확충

 ○ 노인 욕구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그간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6개 노인돌봄사업을 ‘노인맞춤돌봄서비스*’로 통합하고 돌봄규모를 확대(+10만 명, 35→45만 명)한다.
   - 이를 통해, 기존 사업별 일률적 대상 선정 및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, 개인별 서비스 제공계획을 수립하여 돌봄에 필요한 서비스(4개영역 17개 서비스)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.

    * 노인맞춤돌봄서비스 : ('19) 2,458 → ('20년 안) 3,728억 원 (1,270억 원, 51.7%)

 ○ 또한, 노인 소득을 보다 두텁게 보장하기 위해 기초연금 월 최대 30만 원 지급대상이 소득하위 20%에서 소득하위 40%로 확대된다.


< 붙임 > 1. 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개요
2. 정책 대상자별 주요 지원 내용
3. 2020년도 예산안으로 달라지는 모습

< 별첨 > 1. 2020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주요 사업
2. 2020년도 보건복지부 국민체감 예산안 20선
3. 2020년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(안) 인포그래픽


[82조 8203억 보건복지부 2020년 예산 편성] 유튜브 동영상 보러가기
[ 82조 8203억 보건복지부 2020년 예산 편성 ] 유튜브 동영상 보러가기

 


▶ URL안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