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모 분야 |
조직 운영 |
|
운영 사례 |
- 보육 정책 변화와 어린이집 당면 과제 및 육아가 처한 상황에서 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추진한 센터 사업 사례
- 급변하는 보육현안 및 정책 지원을 위해 보육교직원 및 센터 직원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센터 사업 사례
|
운영 사례 |
- 보육 현안 및 정책에 따라 어린이집이 당면한 과제를 반영하여 보육교직원 또는 어린이집을 지원한 사례
- 다양한 가족 환경의 변화 속에 영유아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건강한 양육 문화를 조성하고 긍정적인 부모역할 수행을 지원한 사례
- 센터가 가지고 있는 환경, 여건, 지역사회 등을 고려하여 한계를 극복하거나 현재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운영한 사례
|
사업 관리 |
- 어린이집 지원사업
- 가정양육 지원사업
- 지역사회 연계사업
|
사업 제안 |
- 센터에서 추진이 필요한 사업이나 센터제반 여건, 환경, 지역적 어려움, 인프라의 한계 등으로 실행하지 못한 사업 제안
- 현 보육 현안에 발맞추어 센터에서 추진을 희망하는 사업 제안
|
아이디어 |
- 일하고 싶은 센터를 만들기 위한 근무환경 개선 아이디어
- 사업을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담당자로서 추진해보고 싶은 사업 아이디어
- 육아종합지원센터 홍보 아이디어
|
서류심사 |
심사위원 |
보건복지부,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및 전문가(6명) |
보건복지부,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및 전문가(7명) |
보건복지부,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및 전문가(8명) |
심사 대상 |
사례 83건 |
사례 81건 |
총 141건 운영사례 98건 아이디어 43건 |
심사 내용 |
- 공모 분야의 취지 및 목적 부합여부 점검
- 사례의 독창성, 체계성 등 심사
|
-
공모 분야의 취지 및 목적 부합여부 점검
- 운영사례 ; 독창성, 적합성, 효율성, 효과성, 지속 가능성심사
- 사업제안 : 독창성, 논리성, 적합성, 적용가능성, 지속가능성 심사
|
-
공모 분야의 취지 및 목적 부합여부 점검
- 운영사례 : 독창성, 적합성, 효율성, 효과성, 지속가능성
- 아이디어 : 독창성, 적합성, 실현가능성
|
현장심사 |
심사위원 |
보건복지부 및 전문가(6명) |
보건복지부, 중앙육아종합지원 센터장 및 전문가(7명) |
화상심사 |
보건복지부,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및 전문가(6명) |
심사대상 |
서류심사 우수사례(20건) |
서류심사 우수운영사례(17건) ※ 사업제안 3건은 현장심사 제외 |
서류심사 우수운영사례(20건) |
심사내용 |
해당사례의 현장적응 가능성 및 우수성 등 |
해당사례의 효과, 어려움 극복 방안, 문서로 확인되지 않은 내용, 열정과 노력 등 |
해당사례의 발표, 서류와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한 면담 등 |
시상 |
대상 |
총 6개소 (상금 50만원) |
보건복지부 장관상 |
총 6개소 (상금 30만원) |
보건복지부 장관상 |
운영사례 |
총 3개소 (상금 50만원) |
보건복지부 장관상 |
아이디어 |
총 2명 |
최우수상 |
총 6개소 (상금 30만원) |
총 6개소 (상금 30만원) |
운영사례 |
총 7개소 (상금 30만원) |
아이디어 |
총 8명 |
우수상 |
총 8개소 (상금 15만원) |
총 8개소 (상금 35만원) |
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상 |
운영사례 |
총 10개소 (상금 15만원) |
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상 |
아이디어 |
총 10명 |
자료집 |
2017 자료집 |
2019 자료집 |
2020 자료집 |